참여자 소개

참여작가

 

완 찬타빌라스봉

가타리 수르야 쿠수마

크리스틴 맥케이

다니엘 두아르테 페레이라

라카르사 콜렉티브 (빈센트 루마흘로인)

에제키엘 살레스

 

박치호

김지민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

 

건축사사무소 이안 (김지인, 최창규)

김병석

 

김기라 · 김세진 · 김수연 · 김희선 · 박광태 · 박소정 · 박은비 · 오현지 · 이재원 · 조혜윤 · 최수앙 · 황재호

이수경 + 혜윰

최재훈

 

 

마을 참여자

 

김영표 · 김미영 (어두리)

권복삼 · 박수영 (당목리)

권사일 · 최희자 (당목리)

박길운 · 송미화 · 박현준 · 박현지 (완도군 약산면 어두리)

 

 

기획팀

 

오선영

우신구

마르코 쿠수마위자야

테사 페터

유은순

참여작가


완 찬타빌라스봉(Wan Chantavilasvong, 1989~ )은 고산에서 해저까지 전세계의 다양한 자연 경관을 탐험하는 태국 출신의 신진 풍경사진작가이다. 그의 사진은 평온함과 호기심을 불러일으켜 외적 세계와 내적 세계를 탐험하게 만든다. 2021년 첫 전시인 《Silent Dialogue》는 두 가지 다른 표현 매체 사이의 역학을 탐구하는 수채화 작가와 협업하였다. 그는 환경 문제, 불평등, 비공식적인 노동 및 도시 거버넌스에 대해 관심을 가진 도시 및 지역 계획 건축학자이기도 하다. 또한 미디어 참여 행동 연구 방법론을 사용하여 두 가지 관심사를 통합하고 더 광범위한 사회적 문제를 탐구하고 기록하는 사진 에세이를 만들곤 했다. 이와 관련된 주요 작품으로는 <Copley Square>(2017), <To See Things from the Other End>(2018), <We See Our Souls Better in the Dark>(2017), <Salt Fields>(2013)가 있다. 그의 작품은 2013년 국제 예술 사진 대회(International Fine Art Photography Competition)에서 최종 후보에 오른 바 있으며, 흑백 사진 상(Monochrome Photography Awards) 2014년 야생 동물 부문, 2016년 순수 예술 부문에서 선외 가작(honorable mention)을 받았다.








가타리 수르야 쿠수마(1993~ )는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에 기반을 둔 연구원이자 큐레이터이다. 그는 인도네시아 족자카르타 예술대학(BA)을 졸업했다. 대학 시절 콜렉티브 활동을 통해 자신의 예술 실천을 발전시켰다. 2014년 쿤치 연구 포럼 & 콜렉티브(KUNCI Study Forum & Collective), 2015년 바쿠다판 식품 연구 단체(Bakudapan Food Study Group)에 합류했다. 콜렉티브 합류와 예술 연구 배경은 집단주의와 예술 비평 교육학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그는 콜렉티브 작업과 개인 작업을 오가며 작업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작업은 집단적이든 개인적이든 집단성이라는 개념 아래 연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공생이라는 개념에서 얽힘과 지식 생산을 구축하는 것이다. 그는 집단주의가 생산적인 작업에 국한되지 않고 돌봄 노동, 감정 노동, 감정적 측면, 집단을 떠받치는 공공 인프라 등의 경계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고 믿는다. 또한 집단성은 경쟁의 여지를 만들지 않고 협력을 오염시키지 않으면서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다고 믿는다. 현재 공간으로서의 도시에 몸의 감각을 단련하는 실천으로서 걷기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다.








크리스틴 맥케이(Christine Mackey, 1968~ )는 복잡한 환경 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연구 기반의 독립 시각예술가로서, 그의 예술적 실천 방식은 씨앗과 식물질의 기관을 통해 탐구된 다양한 장소 특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연관된 맥락을 통해 반복하여 드러난다. 그의 접근 방식은 소규모 토지 기반의 자연 개념과 지역화된 농장, 공공 정원, 공유지 및 식물 시스템을 기억하는 활동에 주목하는 관계적이고 장소 반응적인 작업을 한다. 손실되거나, 잊혀지거나 압박을 받은 주제는 장소, 생태계 및 식물의 대안적 패턴을 반영하도록 변형된다. 이 절충적이고 미시적인 렌즈를 통해 그는 인간과 비인간 종 사이의 얽힌 이야기와 때로는 적대적인 관계를 시각화하고 식물이 사회적 및 문화적으로 간주되고 연구될 수 있는 방식의 네 가지 국면, 즉 인간-식물 지리학, 비판적 식물 연구, 문화 식물학, 환경 변화를 넘나들며 작업한다. 크리스틴은 학제 간 연구를 통해 드로잉, 아카이브 및 사진 이미지와 텍스트, 설치, 공공장소 개입, 일시적인 이벤트 및 출판물 등을 제작하면서 관심 있는 다층적인 장소와 아카이브적 직관 및 사회 통합을 아우르는 자료를 만들고 있다. 그의 작업은 추측에 의존하고 열려 있으며 일시적이지만, 지금의 생물학적, 사회적, 역사적 이야기와 환경적 필요성에 뿌리를 둔다는 특징을 가진다. 현재 연구는 오염된 수질과 토양시스템을 위한 식물 정화재로서 떠다니는 정원 메소코즘(Mesocosm)을 함께 구축하는 것이다. <Running Parallel>은 식물 재료의 페놀 능력을 성장시키고 수확하는 과정을 담은 실험적인 작업시리즈이다. 텍스트와 영상을 통해 탐구적인 서술적 이야기를 구성하여 식물이 사람과 장소에 대한 체현된 표현을 만들어낸다.

 

북아일랜드 얼스터 대학교 북아일랜드에서 박사 학위를, 미국 풀브라이트 연구 장학금으로 뉴멕시코대학에서 Art & Ecology Land Arts를 전공하였다. 주요 개인전으로는 2021년 레트림 조각 센터(The Leitrim Sculpture)에서 개최된 《The Long Field》가 있고, 세이프 홀드(Safe Hold), 웩스퍼드 예술센터(Wexford Arts Centre)에서도 개인전을 가졌다. 2022년 예술가를 위한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Artists for Plants Svalbard Seed Vault), 인터페이스(INTERFACE), 시티 하이랜즈 갤러리(CITY Highlands Gallery), 드로헤다 시립미술관(Drogheda Municipal Art Gallery), 드로잉 박스 인터네셔널(Drawing Box International)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최근 레지던시 및 진행 중인 프로젝트로는 에코쇼보트(EcoShowBoat, 리트림주), 유토피아나(Utopiana, Geneva), 음식의 정치학(Politics of Food, Delfina Foundation, London), 런던-우드랜드 심포지엄 연구 레지던시 인터페이스 골웨이(London and Woodland Symposium Research Residency Interface Galway) (2022/2023), 드로우 인터네셔널(DRAW International, 2023), France and Water LANDS Horizon (2023/27) 등이 있다. 그의 작업은 아일랜드 예술위원회와 컬쳐 무브 유럽, 리트림 예술사무소 등을 통해 지원받고 있다.





© 아이프 헤리엇



포르투갈 건축가 다니엘 두아르테 페레이라(1987~ )는 포르투갈 기마랑이스(Guimarães) 미노대학교(University of Minho, 2011)에서 건축, 예술, 디자인(EAAD)을 전공하였고 동대학에서 초청 조교 및 연구원으로 일했다. 그는 2015년부터 포르투갈에 기반을 둔 건축 비영리 조직인 스페이스 트랜스크라이브(Space Transcribes)의 공동 창립자이자 공동 이사로 건축 환경을 함께 조사하고 재현하고 상상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스페이스 트랜스크라이브는 장소와 커뮤니티에 몰입하여 연구하는 방법론을 채택한다. 그들은 사회정치적, 환경적 독해를 통한 장소 특정적 중개 활동과 기록 활동으로 예술과 건축의 경계를 통합한다.

 

스페이스 트랜스크라이브 활동을 통해 작가는 2023 베니스 건축비엔날레에서 포르투갈관 전시 《비옥한 미래(Fertile Futures)》에 참여하고 있으며, 물, 희소성, 에너지를 주제로 작업하고 있다. 또한 브뤼셀의 브리헤 대학교(Vrije Universiteit)가 공동 지도하는 EAAD 박사 수료생으로 해양 생태계, 특히 해초와 건축 환경 사이의 연관성을 연구하고 있다. 그의 연구는 인간중심적이고 도시화된 내러티브에서 벗어나 비인간 종의 역사와 자연 생태계를 담론의 중심에 두고 건축 환경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리리아나 폰투라



라카르사 콜렉티브/재단은 2018년 인도네시아 반둥에 설립된 예술과 문화 비영리 단체이다. 라카르사 콜렉티브는 더 많은 대중에게 지식을 배포하기 위해 예술적 관행의 가능성, 잠재력과 역할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전시, 공개 행사, 교육 이니셔티브를 통해 비공식 예술 교육, 문화 교류, 다학제간 실습을 지향하는 지식 공유 네트워크를 주최하고 육성한다. 

 

라카르사 콜렉티브의 일원인 빈센트 루마흘로인(Vincent Rumahloine, 1984~ )은 반둥에 기반을 둔 현대미술 작가이다. 그의 작품은 주로 사회적 문제, 전통적 가치, 인간 관계, 그리고 집단적 기억에서 사람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된다. 그의 예술적인 실천은 어머니와 아이 같은 공동체 내 여러 그룹과 긴밀히 협력하여 주요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으며, 다양한 사람의 경험과 삶을 이해하고 더 가까워지기 위해 예술적인 전략을 사용함으로써 사회의 격차를 메우고자 한다.








에제키엘 살레스 (Joshua Ezekiel Sales, 1999~ )는 활동가이자 문화 활동가이며 현재 필리핀 대학교에서 지리학을 전공하고 있다. 그의 연구 관심사는 철학, 도시 연구, 인류학이다. 그는 농촌과 도시 빈민의 식량 주권과 식량 정의를 지지하는 작가, 요리사, 농부 네트워크인 푸드 투데이 푸드 투머로우(Food Today Food Tomorrow) 멤버이다. 그는 혁신적이고 포용적인 교육을 촉진하는 집단인 히라야(HIRAYA)에서 라유니온(La Union)의 시각 장애인 커뮤니티와 함께 접근 가능한 정원 가꾸기 및 자연 산책 워크숍을 진행했다. 도시 빈민과 함께 작업하면서 지역사회 돌봄, 공제, 요리, 가드닝 등에 대한 탐구를 지속했으며, 이러한 경험이 이어져 헤일로-헤일로 생태학(Halo-Halo Ecologies)의 음식과 환경 연구 콜렉티브에 합류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그는 음식과 관련된 문제를 지리학적 방법으로 접근하고, 가정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교도 시스템에 관해 글을 쓴다. 그의 가드닝과 유기농 농업에 대한 관심은 지역의 땅, 주민들 및 인간-환경 관계의 풍부한 역사로부터 배우며, 예술가-활동가의 실천에 농업을 통합시키게 되었다.

 

그는 또한 음식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는 학자, 건축가, 활동가로 구성된 콜렉티브인 참여형 음식 시스템 네트워크(Participatory Food Systems Network)의 일원이다. 그는 기후 회복성 작물과 생물 다양성 촉진을 위해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MASIPAG의 농부-과학자 네트워크에서 자원 봉사활동을 하기도 하였다.

 

그는 ‘더 포레스트 커리큐럼(숲의 교육과정)’의 일원으로 활동하며 2021 부산 바다미술제 《국가를 만들지 않는 법(HTBAN)》에 참여하였다. 함부르크 박물관 전시 《Nation Narration Narcosis》 에서 HTBAN 활성화를 위한 패널로 퍼포먼스 렉처 <A Pantry of Things>를 선보였다. 필리핀 음식 체계의 문제와 농부와 정치 수감자의 어려움을 같이 보여주기 위한 활동이었다. 독일 카셀에서 열린 《도큐멘타 15》 개막식에 참가하며 다양한 집회에 참여하고 뮌헨의 레이첼 카슨 환경 센터를 방문하기도 했다.








박치호(1967~ )는 인간 내면의 복잡 다난한 심리를 회화, 조각, 설치작업을 통해 표현해 오고 있다. 작가는 인간의 숙명—고뇌, 고통, 욕망, 망각, 기억, 죽음 등—에 관해 고민하며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원론적 질문을 작품에 담아 관객과 소통하고자 한다. 최근 그의 작업에서는 지워진 얼굴 형상을 통해 ‘망각’을 은유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역으로 관객이 해석할 수 있는 여지를 확장시키고자 했으며, 거대한 몸의 형태로 “삶의 흔적과 상처”를 고스란히 드러내어 축적된 시간과 삶을 이야기한다. 다양한 전문가들과 예술 운동과 역사 문제를 하나로 묶어 역사 속에 묻힌 인권 문제를 함께 고민하며 사회 참여적 활동도 병행하면서 예술가로서의 사회적 역할과 책무를 다하고 있다.

 

1994년 첫 개인전 《노좆바다》(단성갤러리)를 통해 바다와 인간을 주제로 설치 작업과 회화, 오브제 작업을 전시했다. 첫 개인전 후 지역에서 여수청년작가회를 결성하는 등 미술 운동을 함께 해왔다. 2014년 인간이라는 주제로 인간내면의 상처와 인간의 삶을 주제로 쿤스트독에서 개인전을 했으며 2022년에는 전남도립미술관 특별기획 박치호 개인전 《BIG MAN》을 개최하였다.








김지민(1975~ )은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조소를 전공하였으며, 윔블던예술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인간의 욕망과 절제라는 상반된 욕구를 작업의 주요 주제로 삼는다. 그리고 인간이기에 가질 수 있는 욕망과 그것을 억제하기 위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인간 심리를 다룬다. 김지민의 작품에 등장하는 색(色)은 관객의 시선을 주목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이는 결국 예술 작품은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는 작가의 생각과 연결된다. 하지만 그의 작품이 드러내는 시각적 아름다움 이면에는 항상 양가적인 인간 심리가 담겨 있다.

 

김지민의 대표작은 <환풍기>(2007), <바니타스 홀릭>(2008), <모순>(2008), <미키 폭탄>(2008), <깃발>(2008), <삶은 계속 된다>(2015), <뒤집어서>(2018), 그리고 <만족이>(2021) 시리즈가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 《Float》(김종영미술관, 2015), 《ENVy7》(유아트스페이스, 2021)가 있고, 《Hello Materials》(포항시립미술관, 2014), 《2018 여수 국제 아트 페스티벌》(여수세계박람회장, 2018), 《The Senses》 (토탈미술관, 2019), 《Product-ion in Space》(공간 TYPE, 2021) 등의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는 단체명에 들어간 앰비규어스(ambiguous, 애매모호한)라는 단어에 걸맞게 현대무용의 장르와 경계를 넘나들며 쉽게 정의내리기 어려운 그들만의 독보적인 색깔을 보여주고 있는 현대무용단체이다. <볼레로>로 2008년 CJ영페스티벌에서 최우수작품상을 받으며 무용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안무가 김보람을 주축으로 2011년 창단되었다.

 

앰비규어스댄스컴퍼니는 오롯이 ‘몸’을 통해 음악과 춤을 표현해내는 것이야말로 가장 정확하고 진실된 언어라는 믿음을 바탕으로 작품을 만든다. 독특한 음악적 해석과 개성 넘치는 움직임을 담은 안무로 잘 알려져 있는 앰비규어스는 춤의 장르나 개념에서 벗어나 가슴 속에 있는 그 무언가를 무대 위에 풀어내기 위한 창작 활동을 활발히 이어나가고 있다. 또한 그들의 춤이라는 언어가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소개되는 만큼 무용계와 순수예술을 하는 많은 예술가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발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2010년 발표한 <바디콘서트>로 크리틱스초이스 최우수작품상(2010)을 수상하였고, <공존>, <실수>, <인간의 리듬>, <피버> 등 다양한 레퍼토리가 서울국제공연예술제 서울댄스컬렉션 최우수작품상(2010), 스페인 《마스단자 현대무용축제》 관객상(2012), 《요코하마댄스컬렉션 EX》(2014), 한국춤비평가협회 작품상(2014) 등을 수상하며 평단으로부터 예술성을 인정받았다. 헝가리 《시게트페스티벌》, 독일의 《탄츠 임 아우구스트》, 루마니아 《시비우국제연극제》 등 다양한 축제에 초청받았으며, 2023년 4월 프랑스 투어를 준비하고 있다.





<허용무용무용허용>, 청계광장 © 옥상훈



김지인(1985~ )과 최창규(1983~ )가 운영하고 있는 건축사사무소 이안은 도시와 건축물의 관계, 공간과 장소성을 연구하고 있다. 밖으로 드러나 보이는 독특하고, 심미성이 높은 건축물보다는 장소와 더불어 어우러지는 편안함과 그것만의 특별함을 가진 건축을 지향한다. 바깥 활동에서 돌아와 마주하는 일상적 공간인 집은 나에게 맞춰진 특별함으로 ‘나의 집’이라는 쉼을 준다. 이러한 쉼을 만드는 건축이 바로 이안이 지향하는 바이다. 이안건축은 2021년 《장안읍행정복지센터》 설계공모에 당선된 바 있다.








김병석(1979~ )은 학부와 대학원에서 각각 건축학과 조경학을 전공한 가구디자이너 겸 제작자이다.  2012년 김병석은 가구제작에 대한 열정을 발견하고 목공 기술을 탐구하기 시작했다. 작가는 자신의 기술을 연마하면서 건축 및 조경에 대한 배경 지식이 가구 디자인 및 제작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는 공간과 환경에 대한지식을 사용하여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기능적이고 실용적인 작품을 만들 수 있었다. 2015년 작가는 개인공방(BSKWOODWORKS)을 열어 고객의 니즈에 맞는 맞춤가구를 만드는 데 집중했다. 그는 계속해서 가구의 본질을 탐구하고 있다.








벽화 프로젝트는 약산도 어두리 마을 주민 박길운, 송미화의 요청으로 《바람의 노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김기라, 김세진, 김수연, 김희선, 박광태, 박소정, 박은비, 오현지, 이재원, 조혜윤, 최수앙, 그리고 황재호가 초대되었다. 이들은 자신들의 모임명을 ‘도마도마 식당’이라 정했다. 이 프로젝트 팀은 마을 참여자 박길운, 송미화, 박현지, 박현준, 김서아, 김서우, 천문겸, 그리고 천보빈과 함께한다.

 

이 모임을 이 프로젝트에 초대하는 목적은 《바람의 노래》 프로젝트를 계기로 이들이 예술가의 사회적 역할을 함께 고민하면서 공공 예술에서 지역주민과의 협력 과정의 중요성을 발견하고, 참여자의 사회적 참여 예술 경험을 예술 창작물과 자연스럽게 연결하고자 함에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 지역주민의 삶의 터전에서 필요한 부분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자발적인 참여를 끌어내는 대화 과정을 통해서 예술이 단지 감상의 대상이 아니고 삶과 상호 작용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바람의 노래》 프로젝트 큐레이토리얼 연구팀은 이 모임이 예술 프로젝트를 위해 일시적으로 조직되고 이후 사라지는 것이 아니고 지속해 이어 활동할 수 있기를 바란다.








이수경(1969~ )은 불문학을 전공하였으며, 도불 후 25년간 추상작업을 해오고 있다. 존재에 대한 깊은 의문에서 출발한 그의 작품들은 은유적이거나 상징적인 형태로 특별한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의도가 없다. 단지 우리 모두가 지니고, 감각적으로 감지하는 것들, 즉 말로 형용할 수 없는 그 무언가 존재하는것을, 있는 그대로 표면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끊임없이 행위한다. 이수경의 작품에서 보이는 색의 대조 혹은 어울림, 형태의 다양함, 율동적이기도 부동적이기도 또한 부드럽기도 딱딱하기도 한 색과 형태의 나열은 같은 평면 속 구조에서 서로 낯설게 부딪히기도 하고 어우러지기도 한다. 작품은 보는 이에게 시각적 긴장감을 자극하여 새로운 것을 발견하고 요소들 간의 관계를 찾아보게 만든다. 계획되지 않고 의도적이지 않은 행위들의 반복이 포개지고 쌓이면서 부피가 쌓인 공간감을 그려내기도 한다. 

 

작가는 L’H du siège 국립 현대 아트센터(발렝시엔, 프랑스, 2010), Carré Noir 시립 현대미술 아트센터(아미엥, 프랑스, 2012), 3CHA  시립 현대 아트센터(샤토지롱, 프랑스, 2016), Camille Lambert  시립 현대미술 아트센터(프랑스, 2017), 호반 아트리움(광명, 한국, 2019), L’orangerie du château 시립 아트센터(수시앙브리, 프랑스, 2023) 등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고, 청주시립미술관(2019, 청주, 한국), La Tannerie 시립 미술 아트센터(2020, 베가르, 프랑스), 전북도립미술관(한국, 2022)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기획전에 참여하였다. 2015년 Domaine de Kerguéhennec 레지던시에 참여하였고, 프랑스 Oniris 갤러리, 벨기에 MM 갤러리, 서울 아트사이드 갤러리, 부산 어컴퍼니갤러리에서 정기적으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혜움은 완도의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꾸려가는 비영리단체로 마을 학교 공동체를 지향한다. 인터넷과 영상 외에는 놀이거리를 찾을 수 없고, 배울 수 없는 환경에서 지역에 기반한 생태적 교육, 협동학습을 시행하며 경험을 통해 놀이문화를 전승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최재훈은 스스로의 기억과 상처를 마주하기 위해 작업을 시작하였다. 개인의 상처와 기억이 공유되고 그것이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마주하며 함께 치유할것인지를 사유한다. 이를 바탕으로 ‘왜곡된 거울이미지, 내면과 외면이 만나는 지점, 디지털 토템, 공동체시스템의 형상’ 등으로 재현한다. 주로 조각, 영상, 오브제설치, 사진 등을 활용하여 작업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관객참여형 작품도 시도하고 있다.







완도군 약산면 마을참여자


김영표 · 김미영 부부, 박길운 · 송미화 부부, 권사일 · 최희자 부부는 완도의 대표적인 지역특산물인 미역, 다시마, 청각 등 해조류 양식을 오랫동안 해오고 있다. 김영표 · 김미영 부부는 부산에서 생활하다가 고향인 약산도로 귀어한지 10여년이 되었고, 권사일 · 최희자 부부는 약산도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살고 있다. 박길운 · 송미화 부부는 광주에서 직장 생활을 하다가 6년 전 고향으로 귀어하여 자녀(박현준, 박현지)와 함께 생활하고 있다. 권복삼은 약산도에서 중학교까지 다니다가 이후 광주에서 수학하고 우체국에서 근무하며 약산도, 여수 등에서 살았다. 2014년부터 계장, 이장, 완도군연합 회장 등을 역임하며 지역 발전에 이바지 하고 있다. 아내인 박수영은 2015년에 약산도로 이주하여 현재 당목항 매표소에서 근무하고 있다.







기획 및 협력


오선영은 독립 큐레이터이자 연구자이다. 오선영은 지역 사회와 문화 기관을 포함하는 예술과 생태학의 교차점에서 다양한 분야의 다국적 연구 협력자들과 함께 사회적으로 참여하는 예술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으며, 그는 이를 ‘사회적 협력 예술 프로젝트’라 정의한다. 영국 웨스트민스터 대학(University of Westminster)에서 2021년 ‘Curating Arts on the Edge of an Unstable Society’라는 논문을 통해 박사 학위를 받았다. 또한 그는 Project 7½의 창립자이자 디렉터이다. 2014년부터 그의 연구 활동은 예술 창작 활동을 통한 문화와 지역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식과 그것의 역할, 예술이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해 왔으며,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관계’와 ‘관점의 차이’에 주목하고 있다. 그리고 이전 프로젝트에는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여러 지역 사회가 참여했으며 역사적 맥락이 프로젝트 위치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왔다. 그 연장선 상에서 그는 현재 대한민국 전라남도 완도군 약산면에서 사회적 협력 예술 프로젝트 ‘바람의 노래’를 기획하고 있다.  

 

오선영의 대표적인 큐레이팅 전시는 다음과 같다. 《두 도시 이야기: 기억의 서사적 아카이브》(아르코 미술관, 김해문화재단 윤슬미술관, 인도네시아 국립미술관, 2017-2018); 《방 안의 코끼리》(자카르타 역사박물관, 2018-2019); 《그녀의 이름은》(아시아문화전당, 2019). 최근에는 온라인 프로젝트인 《Look Who’s Talking》(2022년~현재 진행 중)를 통해 인도네시아, 한국,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덴마크, 독일, 영국 등의 참여 프로젝트를 연결하고 있다(lookwhoistalking.info).








공학박사(서울대학교)이며 건축사이다. 현재 부산대학교 건축학과의 교수이며 도시건축연구실(LUSA : Lab of Urban Space & Architecture)을 이끌고 있다. 부산의 도시와 건축을 중심으로 한 지역연구에 관심이 많다. 도시건축연구실을 중심으로 서면이나 광복로 같은 상업지역, 산복도로와 정책이주지 등의 주거지역의 변화와 지속성을 꾸준히 연구하고 있다. 지역연구의 결과는 전문학술지에서 논문이나 저서로 출판되었고, 대안공간섬(2000), 부산시립미술관(2001), 금정구청(2002), 일맥문화재단(2018), 부산현대미술관(2020~21)에서의 전시를 통해 발표되었다.

 

학술연구와 전시를 바탕으로 도시재생, 마을만들기, 가로개선과 관련된 다양한 프로젝트에도 직접 참여하여, 주민참여형 계획수립부터 거브넌스를 기반으로한 사업의 실행, 사업 이후의 주민주도형 유지관리 및 모니터링까지 코디네이팅과 컨설팅을 실천하고 있다. 참여한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광복로일원시범가로조성사업(2005-2008)>, <행복한 도시어촌 청사포만들기(2010-2017)>, <부산서구 아미초장도시재생사업(2014-2020)> 등이 있다.








마르코 쿠수마위자야(Marco Kusumawijaya)는 건축을 전공하였다. 도시 연구와 지속가능한 도시주의에 주목하면서 건축디자인을 실행하고 있다. 그는 2010년에 루작 도시 연구 센터(Rujak Center for Urban Studies)를 공동설립, 2010년부터 2017년까지 센터장을 역임하였고 예술, 창의성, 지속가능한 (도시) 삶 사이의 관계에 관심을 갖고 예술 분야에서도 활동하고 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예술 위원회 중 하나인 자카르타 예술 위원회의 의장 겸 디렉터를 역임하였다. 2012년 족자카르타에 지속가능한 학습 센터인 부미 페무다 라하유(Bumi Pemuda Rahayu)를 공동설립하고 건립하였다. 이곳은 예술가가 생태와 공동체를 주제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워크숍, 실험, 레지던시 프로그램을 개최한다. 2021년부터 5년 동안 자카르타 아카데미의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자카르타 예술 위원회를 모니터링하고, 회원을 선출하고 예술가와 지식인에게 평생의 업적을 공로하고, 자카르타 정부의 예술 문화 문제에 관해 조언하고 있다.








테사 페터(Tessa Peters)는 독립 큐레이터이자 작가, 교육자이다. 그는 런던의 CAA 갤러리 디렉터를 역임하였고(1990-1994), 이후 공공 및 민간 분야에서 독립큐레이터로 일하면서 영국 전역의 갤러리와 박물관에서 전시를 기획했다. 그는 웨스트민스터 대학(University of Westminster)에서 예술과 디자인 역사와 이론을 가르치는 선임 강사이자 CREAM(Center for Research and Education in Art & Media)과 CRC-UK(도자기 연구 센터)의 연구원이다. 그는 또한 런던 센트럴 세인트 마틴스 예술 대학(Central Saint Martins, University of the Arts) 학부 도예 과정의 부교수이다.








유은순은 홍익대학교에서 회화와 예술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미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학 박사를 수료하였다. 삶과 예술에 있어서 수행적 정체성에 관심을 갖고 미술비평 및 독립기획을 하고 있다. 정상적 삶의 속도에서 소외된 아픈 사람의 시간적인 경험에 관한 전시 《틱-톡》(온수공간, 2019), 회화를 작가의 실천적 결과물이자 사회적, 환경적, 시공간적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구성물로 이해하려고 시도한 《수행하는 회화》(This is not a church, 2021), 표준적인 신체에서 벗어난 노화한 몸, 장애를 가진 몸의 공간적 경험에 관한 전시 《사이드-워크》(윈드밀, 2021) 등을 기획하였다.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코디네이터 및 실무관으로 근무하였고 2022 창원조각비엔날레 큐레이터로 참여하였다. 현재 용인대학교 회화과 객원교수, 독립기획자, 바람의 노래 어시스턴트 큐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